본문 바로가기
영어배우기/함께 배우는 문법

능동태와 수동태의 비교 및 사용이유

by 리치엔스카이 2023. 8. 6.

능동태와 수동태의 개요

능동태와 수동태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에 영향을 주는 문법 형태로, 능동태는 문장의 주어가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며 이는 동작을 하는 주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고,

수동태는 문장의 주어가 동작을 받는 대상이 되며 이는 동작을 받는 주체에 초첨이 맞춰지는 경우에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썸네일

 

능동태와 수동태의 비교 및 변환

능동태 

능동태는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로써 동작이 그 주체로부터 비롯되므로 문장이 보다 명확하고 간결한 것이 특징이다.

문장의 구조는 주어(동작의 주체) + 동사 + 목적어(동작의 대상) 순으로 이루어진다.

She reads a book
Tom closed the door
 

수동태

수동태는 주어가 동작의 대상이 되는 형태로써 동작의 대상을 강조하고자 할 때 쓰이며 동작의 주체는 문장에서 생략되거나 크게 중요하지는 않다.

문장의 구조는 주어(동작의 대상) + 수동동사(be+과거분사) + by 행위자(동작의 주체)

A book is read by her
The door was closed by Tom
 

능동태를 수동태로 변환

변환규칙

주어(주체)와 목적어(대상)의 위치를 바꾼다
동사 앞에 be동사를 넣어주고, 동사를 과거분사 형태로 변환한다.(동사의 시제에 주의한다)
동작의 주체 앞에 'by' 전치사를 추가한다.
 

변환형식

능동태 : 주어(주체) + [동사] + 목적어(대상)
수동태 : 주어(대상) + [be + 과거분사] + by (주체)
 

변환예시

They painted the wall 
=>  The wall was painted by them

Someone broke the window 
=> 
The window was broken (by someone 생략)

* 주체가 모호하거나 알려지지 않은 경우 또는 정보전달의 목적이 동작의 결과에 중점을 두는 경우에는 동작의 주체를 생략하여 문장을 더욱 간결하게 할 수 있다.

3형식 문장(that 절 등)을 수동태 문장으로 바꾸기

3형식 문장 이해하기 영어 문장은 크게 5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에 3형식 문장이란 주어, 동사, 목적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말하며, 이 3형식은 행동의 주체(주어)와 행동(동사), 그리

richnrich0402.tistory.com

 

수동태를 사용하는 이유 

동작의 대상에 초점을 두는 경우

동작의 결과나 대상에 중점을 두고자 할 때 수동태를 사용하면 읽는 이의 관심을 해당 내용에 집중할 수 있다.

The package was delivered on time
(소포가 시간에 맞춰 배달되었다.)
=> 동작의 대상인 소포와 배달시간에 초점을 맞춤
 

주체가 불분명하거나 중요치 않은 경우

주체가 불분명하거나 그리 중요하지 않은 경우 수동태를 사용하여 동작이나 상황에 관한 중요한 정보만 전달할 수 있다.

The window was broken during the storm
(창문이 폭풍 동안에 깨졌다.)
=> 청문이 깨진 사실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누가 깨뜨렸는지는 중요하지 않음
 

공손함 또는 정중한 표현을 할 경우

수동태는 공손하고 정중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Your application had been received
(귀하의 지원서가 접수되었습니다.)
지원서가 접수된 것을 상대방에게 예의를 갖춰 알려줌
 

공식적이거나 객관적인 문장에 사용

수동태는 공식적인 문서, 보고서 또는 학술 글에서 주로 사용되며 객관적이고 범용적 정보를 전달하는데 적합하다.

Instructions must be followed carefully
(지시사항은 주의 깊게 따라야 합니다.)
=> 이문장은 수동태로 작성됨으로써 객관적이고 무언가 공식적인 상황 표현을 갖추려고 함.
 

수동태로 사용할 수 없는 동사

수동태가 불가능한 동사란

수동태를 사용할 수 없는 동사는 자동사로서 자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동사는 주어 자체에서 동작이나 상태가 발생하므로 대상에 미치는 영향이 없기 때문에 수동태를 만들 수 없다.
 

대표적인 자동사 

apear, arrive, belong, die, exist, go, happen, live, occur, sleep, stay, last, fall, melt, 
 

혼동하기 쉬운 자동사 예문 비교

happen

The accident happened this morning (o)
The accident was happened this morning (x)
 

occur

The problem occured (o)
The problem was occured (x)
 

belong

The book belong to her (o)
The book was belong to her (x)
 

melt

The ice cream melted in the sun (o)
The ice cream was melted by the sun (x)
 

정리

능동태와 수동태는 문장의 중심에 두려는 요소와 강조하고자 하는 관점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되며,

능동태는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의 행위를 강조하는 경우에 사용하며 능동태 문장은 간결하고 직접적인 구조를 갖기 때문에 명확한 전달을 원할 때 사용한다.
 
반면 수동태는 동작의 대상에 초점을 맞추고 싶을 때 사용하며 동작의 주체가 중요치 않거나 미상인 경우, 공손하거나 정중한 표현을 전달하거나 객관적인 서술이 필요할 때 수동태를 사용한다.
수동태의 형식과 능동 및 수동의 의미 등

수동태의 형식(동사의 형태)과 능동 및 수동의 의미 등

수동태 형식과 능동 및 수동의 의미 수동태는 주어가 동작을 받는 문장구조로, 수동태에서 동사의 형태는 주로 be동사와 일반동사의 과거분사(past participle)를 결합하여 만들 수 있으며 과거, 현

richnrich0402.tistory.com

지각동사와 사역동사를 포함한 5형식 문장의 수동태에 대해 알아보자

지각동사와 사역동사를 포함한 5형식 문장의 수동태에 대해 알아보자

5형식 문장의 수동태 영어에서 5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5형식 문장은 기본적으로 수동태가 될 때는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되고, 수동태 동

richnrich0402.tistory.com

 

광고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