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동태3

지각동사와 사역동사를 포함한 5형식 문장의 수동태에 대해 알아보자 5형식 문장의 수동태영어에서 5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5형식 문장은 기본적으로 수동태가 될 때는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되고, 수동태 동사 뒤에 바로 목적격 보어를 그대로 써주면 된다. 그러나 지각동사와 사역동사가 있는 5형식 문장은 수동태 전환 시 목적격 보어가 원형부정사인 경우에는 이 원형부정사를 to부정사로 바꿔 써줘야 한다. (단, 지각동사에서 목적격 보어가 현재분사(v~ing)인 경우에는 현재분사를 그대로 써준다.) 5형식 문장의 수동태 변환 방법5형식 문장의 수동태 변환에 대해 기본적인 5형식 문장과 지각동사가 있거나 사역동사가 있는 경우에 대하여 알아보자. 1. 기본적인 5형식 문장의 수동태 변환기본적인 5형식 문장은 수동태로 변환 .. 2024. 1. 9.
수동태의 형식(동사의 형태)과 능동 및 수동의 의미 등 수동태 형식과 능동 및 수동의 의미 수동태는 주어가 동작을 받는 문장구조로, 수동태에서 동사의 형태는 주로 be동사와 일반동사의 과거분사(past participle)를 결합하여 만들 수 있으며 과거, 현재, 미래 각각의 시제에 따른 다양한 수동태 형식을 만들 수 있다. 능동형 구문이라고 해서 항상 능동의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니며, 의미상으로 무언가를 받거나 당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수동의 의미를 내포할 수도 있고, 수동태도 마찬가지로 능동의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능동과 수동을 모두 표현 가능한 동사도 있다. 수동태 형식 시 제 형 태 비 고 단순과거 was/were + p.p The cake was eaten by the children. 과거진행 was/were + being + .. 2023. 8. 28.
능동태와 수동태의 비교 및 사용이유 능동태와 수동태의 개요능동태와 수동태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에 영향을 주는 문법 형태로, 능동태는 문장의 주어가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며 이는 동작을 하는 주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고, 수동태는 문장의 주어가 동작을 받는 대상이 되며 이는 동작을 받는 주체에 초첨이 맞춰지는 경우에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능동태와 수동태의 비교 및 변환능동태 능동태는 주어가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로써 동작이 그 주체로부터 비롯되므로 문장이 보다 명확하고 간결한 것이 특징이다. 문장의 구조는 주어(동작의 주체) + 동사 + 목적어(동작의 대상) 순으로 이루어진다. She reads a book Tom closed the door 수동태수동태는 주어가 동작의 대상이 되는 형태로써 동작의 대상을 강조하고자 할 때 쓰이며 동작의.. 2023.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