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배우기/함께 배우는 문법

지각동사와 사역동사를 포함한 5형식 문장의 수동태에 대해 알아보자

by 리치엔스카이 2024. 1. 9.

5형식 문장의 수동태

영어에서 5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5형식 문장은 기본적으로 수동태가 될 때는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되고, 수동태 동사 뒤에 바로 목적격 보어를 그대로 써주면 된다.
 
그러나 지각동사와 사역동사가 있는 5형식 문장은 수동태 전환 시 목적격 보어가 원형부정사인 경우에는 이 원형부정사를 to부정사로 바꿔 써줘야 한다. (단, 지각동사에서 목적격 보어가 현재분사(v~ing)인 경우에는 현재분사를 그대로 써준다.)
 

썸네일

 

5형식 문장의 수동태 변환 방법

5형식 문장의 수동태 변환에 대해 기본적인 5형식 문장과 지각동사가 있거나 사역동사가 있는 경우에 대하여 알아보자.
 

1. 기본적인 5형식 문장의 수동태 변환

기본적인 5형식 문장은 수동태로 변환 시 목적격 보어는 변환 없이 수동태 뒤에 그대로 써주면 된다.
 

목적격 보어가 명사인 경우

능동태: "We (주어) elected (동사) him (목적어) president (명사)." 

수동태:"He (주어) was elected (수동태 동사) president (명사) by us."
 

목적격 보어가 형용사인 경우

능동태:"The news (주어) made (동사) us (목적어) happy (형용사)."

수동태: "We (주어) were made (수동태 동사) happy (형용사) by the news."
 

목적격 보어가 to부정사인 경우

능동태: "They (주어) want (동사) you (목적어) to leave (to부정사)."

수동태: "You (주어) are wanted (수동태 동사) to leave (to부정사) by them."
 

2. 지각동사가 있는 5형식 문장의 수동태 변환

지각동사가 있는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목적격 보어가 현재분사인 경우에는 그대로 써주지만, 목적격 보어가 원형부정사인 경우에는 to 부정사로 바꿔 써준다.
 

목적격 보어가 현재분사(v~ing)인 경우

능동태: "I (주어) saw (지각동사) him (목적어) playing (분사) the guitar."

수동태: "He (주어) was seen (수동태 지각동사) playing (분사) the guitar by me."
 

목적격 보어가 원형부정사인 경우

능동태: "I (주어) heard (지각동사) her (목적어) sing (원형부정사) a song."

수동태: "She (주어) was heard (수동태 지각동사) to sing (to부정사) a song by me."
 
지각동사의 개요 및 사용

지각동사의 개요 및 사용

지각동사의 개요 지각동사는 언어에 있어서 어떠한 사건이나 감정, 감각을 통해 무언가를 인지 또는 인식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이며 지각동사는 청각, 시각, 촉각, 후각 등의 다양한 감각에

richnrich0402.tistory.com

 

3. 사역동사가 있는 5형식 문장의 수동태 변환

사역동사가 있는 문장 또한 수동태로 변환하는 경우에 목적격 보어가 원형부정사이면 to 부정사로 바꿔 써준다.
 

목적격 보어가 원형부정사인 경우

능동태: "He (주어) made (사역동사) the driver (목적어) stop (원형부정사)."

수동태: "The driver (주어) was made (수동태 사역동사) to stop (to부정사) by him."
 
사역동사(make, let, have)가 뭘까?

사역동사(make, let, have)가 뭘까?

사역동사란? 우선 영어에서 사역동사라는 말이 나오면 '사역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이라는 문법적 사항이 제일 먼저 떠오른다. 이러한 사역동사는 한 주체가 다른 이에게 어떠한 행동이나 행

richnrich0402.tistory.com

 
 

****** 참고사항)  <사역동사 'have'와 'let'은 수동태로 사용하지 않음>

 
사역동사인 'make, have, let' 중에서 make만이 수동태로 사용할 수 있고, have와 let은 수동태로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이 두 동사를 수동태로 바꾸면 문장의 의미가 애매해지거나 어색하기 때문이다.
 
즉, 'have'를 수동태로 바꾸려고 하면 "be had to" 같은 형태가 되어 어색하고, 'let'을 수동태로 바꾸려고 하면 "be let to"라는 형태가 되어 매우 부자연스럽다.

그래서 'have'와 'let' 대신에 다른 표현을 사용해 수동태를 만들게 되는데,
 
예를들어, 'have'는 'be asked to'로 대체하여,
"I had him clean the room."
-> "He was asked to clean the room."으로,
 
'let'은 'be allowed to'로 대체하여,
"I let him use my phone."
-> "He was allowed to use my phone."처럼 수동태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have'와 'let'을 수동태로 바꾸려면 'be asked to'와 'be allowed to'를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문장이 된다.
 

끝으로,

영어에서 5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변환하면 목적어가 주어의 자리로 이동하고, 목적격 보어는 변환 없이 그대로 유지되어 수동태 동사 뒤에 사용하면 되지만,

지각동사와 사역동사가 있는 5형식 문장의 경우에는 수동태로 변환할 때 목적격 보어가 원형부정사인 경우에는 이를 to부정사로 변경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have'와 'let'이라는 사역동사의 문장은 수동태로 변환하지 않는데, 이는 어색하거나 부자연스러운 표현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have'는 'be asked to'로, 'let'은 'be allowed to'로 대체하여 자연스러운 수동태 문장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2023.12.29 - [영어배우기/함께 배우는 문법] - 2개의 목적어를 가진 4형식 문장의 수동태

2개의 목적어를 가진 4형식 문장의 수동태

4형식 문장의 수동태 4형식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1, 목적어2로 이루어진 문장을 말하는데, 이때 주로 목적어1은 간접목적어로 사람을, 목적어2는 직접목적어로 사물을 가리키게 된다. 예를

richnrich0402.tistory.com

2023.12.22 - [영어배우기/함께 배우는 문법] - 3형식 문장(that 절 등)을 수동태 문장으로 바꾸기

3형식 문장(that 절 등)을 수동태 문장으로 바꾸기

3형식 문장 이해하기 영어 문장은 크게 5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에 3형식 문장이란 주어, 동사, 목적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말하며, 이 3형식은 행동의 주체(주어)와 행동(동사), 그리

richnrich0402.tistory.com

 

광고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