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배우기/함께 배우는 문법

수동태의 형식(동사의 형태)과 능동 및 수동의 의미 등

by 리치엔스카이 2023. 8. 28.

수동태 형식과 능동 및 수동의 의미

수동태는 주어가 동작을 받는 문장구조로, 수동태에서 동사의 형태는 주로 be동사와 일반동사의 과거분사(past participle)를 결합하여 만들 수 있으며 과거, 현재, 미래 각각의 시제에 따른 다양한 수동태 형식을 만들 수 있다.

 

썸네일

 

능동형 구문이라고 해서 항상 능동의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니며, 의미상으로 무언가를 받거나 당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수동의 의미를 내포할 수도 있고, 수동태도 마찬가지로 능동의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능동과 수동을 모두 표현 가능한 동사도 있다.

 

수동태 형식

시 제 형 태 비 고
단순과거 was/were + p.p The cake was eaten by the children.
과거진행 was/were + being + p.p The cake was being eaten by the children when I walked in.
과거완료 had been + p.p By the time I arrived, the cake had been eaten.
단순현재 am/are/is + p.p The letters are written by him
현재진행 am/are/is + being + p.p The house is being painted this week.
현재완료 has/have +been + p.p The work has been completed on time.
단순미래 will be + p.p This task will be finished tomorrow.
미래진행 will be being + p.p At this time tomorrow, a meeting will be being held in this room.
미래완료 will have been + p.p By 2025, all cars will have been converted to electric power.

*** 수동태의 시제는 능동태의 시제와 동일하며 시제의 용법에서 차이가 없다. 에를 들어, 능동의 시점에서 현재진행형인 시제는 수동의 시점에서도 마찬가지로 현재진행형 시제를 쓴다.

 

[현재진행시제]

I am eating an apple (능동)  =>  An apple is being eaten by me (수동)

 

[현재완료시제]

I have finished the report (능동)  =>  The report has been finshed by me (수동)

 

능동 및 수동의 의미

능동태이지만 수동의 의미가 있는 경우

특정 문장들은 능동태 형태이지만 사용상으로는 수동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주로 주어가 행동을 수행하지 않고, 행동을 받거나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이런 형태를 볼 수 있음.

 

The flowers are dying.

=> 이 문장에서 "flowers"는 주어로서 문장의 앞에 위치한 능동태 형태이지만, '죽어가는' 것의 행위는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것으로써, 실제로는 '죽어가는' 행동을 수행하는 주체는 아닌 수동의 의미를 내포함.

 

The bread is baking in the oven.

=> 여기서 "bread"는 주어이지만 스스로 구워지는 것이 아님, '구워지는'은 오븐과 열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써, 이 문장또한 능동태 형태이지만 수동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

 

The leaves are falling from the trees.

=> 이 문장에서 "leaves"는 주어이지만 스스로 떨어지 않고 바람이나 중력에 의해 떨어지게 되므로 이 역시 능동태 형태지만 수동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

 

이러한 종류의 문장들은 주로 자연 현상이나 감정 등, 주체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됨.

 

수동태이지만 능동의 의미가 있는 경우

I수동태 형식의 문장이지만 능동의 의미를 내포하는 문장은 그리 많지는 않지만 일부 문장에서는 주어가 동작을 행하거나 시작하는 것처럼 해석되는 능동적인 요소를 가질 수 있음.

 

I was born in 1975.

이 문장은 'I'가 주어로 사람은 스스로 태어날 수 없고 누군가에 의해 태어나게 되는 수동태이지만, 실제로는 '나는 1975년에 태어났다'라는 능동적인 의미로 번역됨

 

English is spoken here.

=> 'English'가 주어인데 영어라는 언어 자체가 스스로 말할 순 없으므로 이것도 수동태를 사용하나,  '여기서는 영어를 쓴다'라고 해석되므로 능동적인 의미를 가짐.

 

The book was published in 2001.

=> 'The book'이 주어인데 책 자체가 스스로 출판할 순 없으니 이것도 수동태이나, 해석상으론  '그책은 2001년도에 출판됐다'라는 능동적인 의미를 가짐.

 

능동과 수동의 의미를 모두 가지는 경우

능동과 수동의 의미를 모두 지니는 동사는 일반적으로 자동사들이며, 주로 변화나 상태를 나타내며, 문맥에 따라 주어가 행위를 직접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면 능동의 의미가 있고, 그 결과나 상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면 수동의 의미가 있는 등 모호함을 가지고 있다.

 

Open

능동적 의미 : She opened the door. (그녀가 문을 열었다.)

수동적 의미 : The door opened. (문이 열렸다.)

 

Break

능동적 의미 : He broke the vase. (그가 꽃병을 깼다.)

수동적 의미 : The vase broke." (꽃병이 깨졌다.)

 

Close

능동적 의미 : I closed the window. (나는 창문을 닫았다.)

수동적 의미 : The window closed. (창문이 닫혔다.)

 

수동태는 각각 다양한 시제에 따른 다양한 수동태 형식을 가지며, 수동태이지만 능동의 의미를 가지거나 능동태이지만 수동의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능동 및 수동의 모든 의미를 내포할 수 있는 자동사 또는 상태 동사 등도 있음을 알고, 불필요한 수동태를 만드는 것에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능동태와 수동태의 비교

 

능동태와 수동태의 비교 및 사용이유

능동태와 수동태의 개요 능동태와 수동태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에 영향을 주는 문법 형태로, 능동태는 문장의 주어가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며 이는 동작을 하는 주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richnrich0402.tistory.com

지각동사와 사역동사를 포함한 5형식 문장의 수동태에 대해 알아보자

 

지각동사와 사역동사를 포함한 5형식 문장의 수동태에 대해 알아보자

5형식 문장의 수동태 영어에서 5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5형식 문장은 기본적으로 수동태가 될 때는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되고, 수동태 동

richnrich0402.tistory.com

광고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