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8

시간(when)과 조건(if)의 부사절에서 미래를 현재시제로 사용하는 이유 시간, 조건 부사절과 현재시제부사절 (adverb clause)이란 문장 내에서 주절을 보충하거나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쉽게 말해 부사처럼 작용하여 주절의 동작이나 상태 또는 상황 등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종속절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사절 중에서 시간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의 시제는 미래의 표현을 현재시제로 나타낸다. 시간, 조건 부사절이란시간 그리고 조건 부사절이란 문장 내에서 각각 주절의 동작이나 상태 등이 언제 일어나는지와 어떤 조건하에서 일어나는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종속절로, 이를 통해 문장의 내용을 풍부하게 해 주고 더욱 상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 시간 부사절개념 : 문장에서 어떤 행동이 일어나는 시간적 범위 또는 기간을 설명하는 부사절 형태 : (시간).. 2023. 12. 15.
Can과 Be able to의 비슷하면서도 다른 미묘한 차이 기본적 개념 이해'can'과 'be able to'는 둘 다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에서는 비슷하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쓰임에 있어서는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can은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능력을 의미하지만, be able to는 특정한 상황, 시간 및 장소 등에서의 능력을 표현하는 경우에 사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I can sing"에서의 'can'은 일반적인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나는 노래를 배웠기에 노래를 잘할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지만, 목이 아파서 한동안 노래를 부르지 못하다가 건강이 회복되어 노래를 다시 부를 수 있게 된 특정한 상황에서 능력을 표현하는 경우는 'be able to'를 사용하여 "I am able to sing"이라고 표현합니다. 조동사 Can의.. 2023. 12. 14.
kind of, sort of, type of, 각 단어의 쓰임과 비교 기본 개념'Kind of', 'sort of', 그리고 'type of'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기본적인 표현으로는 'of' 다음에 오는 대상에 대한 종류 또는 유형에 대한 것을 떠올릴 수 있는데, type of는 거의 이러한 종류 또는 유형을 표현하는 의미로 쓰이지만, 'kind of'와 'sort of'는 'type of'와 비교하여 종류 및 유형이라는 의미 외에도 '조금', ''다소' 또는 '약간'의 구어체적 표현으로 자주 쓰이게 됩니다. 사전적 의미kind of이 단어는 주로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됩니다. 첫 번째 의미는 'somewhat' 또는 'to a degree', 즉 '어느 정도', '조금'이라는 뜻으로, 완전히 그렇다고 말하기보다는 어느 정도 그렇다는 의미를 표현할 때 사용되며, 두.. 2023. 12. 13.
you are telling me, 나도 네 말에 동감이야 you are telling me의 의미 이 표현은 상대방의 대화에서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거나 상대방의 얘기에 전적으로 동의함을 표현할 때 쓰이는 문장으로 미드나 영화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표현입니다. 그러나 이 표현은 주의해서 표현해야 할 부분이 있는데, 만일 상황에 따라 의문문의 형태로 말하는 경우에는 약간 놀람이나 의심 또는 비꼬는 표현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주요 3가지 상황 표현 1. 전적으로 동의하는 상황 (대부분의 상황) "You are telling me"는 상대방의 말에 강하게 동의하거나, 그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합니다. 이 경우, 이 표현은 "그건 나도 전적으로 동감이야" 또는 "내가 말하려던 바야"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친구가 당신을 보면서 "오늘 .. 2023.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