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배우기/함께 배우는 문법

I have 와 I have got 의 비교

by 리치엔스카이 2023. 8. 3.

'have'와 'have got'의 쓰임

영어회화를 듣다보면 일상회화에서 have를 쓰는 자리에 have got을 쓰는 경우를 흔하게 볼 수 있는데,

주의할 점은  '가지고 있다'라는 소유의 의미인 경우에 사용하고 현재시제에만 적용된다는 점이다. (3인칭 경우에는 has => has got)
 

썸네일

 
이러한 have got은 격식적인 문장보다는 구어체에서 캐주얼한 상황에 즐겨 사용되며, 영국식 영어에서 이 have got 표현을 더 많이 선호한다고 한다.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으로 have와 have got 은 모두 소유를 나타낼 때 현제시제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예) i have a car = i have got a car 
 
여기서 굳이 차이점을 찾자면 have got은  get의 과거형 got이 have 다음에 오는 차이이다. 

have가 단순히 가지고 있는 것만을 표현한다면, have got은 got을 통해 얻은 다음에도 얻은 상태를 그대로 have를 통해 가지고 있다는 의미 정도로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have'와 'have got'의 의문문과 부정문 비교

have와 have got은 소유의 의미를 표현하는 해석면에서는 비슷하지만 의문문과 부정문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문장구조에 차이가 있다.  
 

상 황have 형태have got 형태
긍정문I have a carI have got a car
의문문Do you have a car?Have you got a car?
부정문I don't have a carI haven't got a car

 
일반동사는 조동사 Do/Does를 이용하여 의문문 또는 부정문을 만들고, 조동사는 조동사를 문장 주어 앞으로 보내 의문문을 만들거나 조동사 뒤에 not을 붙여 부정문을 만든다.

다양한 의문문을 만들어 보자!

영어의 의문문 일반적으로 우리가 영어에서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이라 함은 평서문의 주어 + 동사의 어순을 치환하여 동사 + 주어로 변형하여 만들거나 의문사(what, who, when, where, why, how)를 추가

richnrich0402.tistory.com

 
따라서 have형태에서의 have는 일반동사로 의문문과 부정문을 만들 때 조동사 Do를 사용하고, have got은 얻은 상태를 현재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의  현재완료형의 의문문 부정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참고) "have to,  have got to,  got to" 비교

have to, have got to, got to 은 '~해야 한다'등 의무, 필요성, 강제성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지만, 구조와 사용되는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한다.

have to는 일반적으로 미국과 영국 양쪽에서 사용되는 표현이지만, have got to는 have got처럼 영국에서 주로 사용되고, got to는 have got to에서 have가 생략된 형태로 미국에서 주로 사용된다고 한다.
 
It's dark outside,
- i have to go
- i have got to go => i've gotta go
- i got to go = > i gota go
 

'have' 자리에 'have got' 을 쓸 수 없는 경우

have가 소유를 나타낼 때 have got을 사용할 수 있지만,

경험, 완료, 의무 등의 의미와 eat 또는 drink의 의미일 경우에는 have got을 사용할 수 없다.
 
I have been to London (o)
I have got been to London (x)
 
she has finished her homework (o)
she has got finished her homework (x)
 
I have a breakfast (o)
I have got a breakfast (x) 
 

정리

have 와 have got은 소유의 의미일 경우에는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have에 got이 붙어 있다고 해서 의미가 더 추가되는 것은 아니고 둘의 의미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다만, have got은 영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표현으로 비격식 구어체에서 많이 쓰이는 것을 알 수 있다. 
Can과 Be able to의 비슷하면서도 다른 미묘한 차이

Can과 Be able to의 비슷하면서도 다른 미묘한 차이

기본적 개념 이해 'can'과 'be able to'는 둘 다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에서는 비슷하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쓰임에 있어서는 미묘한 차이가 있는데, can은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능력을 의

richnrich0402.tistory.com

Get의 다양한 쓰임, 문장의 형식에 따른 Get의 쓰임 등

Get의 다양한 쓰임, 문장의 형식에 따른 Get의 쓰임 등

Get의 기본적인 의미와 쓰임 'get'은 일반적으로 영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영어단어 중 하나로써, 그 자체로 다양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다른 단어들과 결합하여 더욱 많은 의미를 만들

richnrich0402.tistory.com

 

광고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