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배우기153 'form' 어근과 관련된 단어들 'form' 어근 의미와 유래 'form'이라는 어근은 모양(shape)이나 구조(structure)와 관련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물체나 개념 또는 아이디어의 외부적인 모습이나 구성방식 등을 나타내고, 이러한' form'은 다양한 접두사와 함께 사용되어 여러 가지 변형된 의미를 만들어 낸다. 'form'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forma'에서 비롯되었으며 옛 프랑스에서는 'forme'로 사용되었고 최종적으로 13세기에 영어권에서는 form이라는 형태로 전달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고 한다. 'form' 어근이 포함된 다양한 단어들을 공부해 보고자 한다. Conform 접두사: con-, 공동으로, 함께 의미: 표준이나 규칙에 맞추다 동사: conform, 명사: conformity, 형용사: con.. 2023. 7. 25. 빈도부사의 위치와 종류 빈도부사(Frequency adverbs) 란 빈도부사는 어떤 일이나 사건이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를 나타내는 부사로써 행동이나 상태의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쓰인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빈도 부사는 문장에서 위치가 중요한데, 일반동사의 앞 또는 be동사나 조동사의 뒤에 위치한다. 빈도부사의 종류와 위치 Always (항상) I always eat breakfast in the morning (나는 아침에 항상 아침 식사를 먹는다.) Usually (보통, 일반적으로) He don't usually read a book before bed (그는 보통 잠자기 전에 책을 읽지 않는다.) Often (자주, 종종) She often visits her grandparents on weeke.. 2023. 7. 25. 다양한 의문문을 만들어 보자! 영어의 의문문 일반적으로 우리가 영어에서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이라 함은 평서문의 주어 + 동사의 어순을 치환하여 동사 + 주어로 변형하여 만들거나 의문사(what, who, when, where, why, how)를 추가하여 의문문을 만드는 것을 알고 있다. 예를 들어, 평서문 : He is a teacher. => 의문문 Is he a teacher? 또는 who is a teacher? 위 의문문 말고도 영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의문문을 만들 수 있는데 그 종류 및 방법 등을 알아보려 한다. 의문문의 종류 및 만드는 법 1. 일반 의문문(yes/No 의문문이라고도 함) 앞 서 말한것처럼 간단히 예 또는 아니오로 답할 수 있는 일반적인 질문 등으로 be동사(am/are/is) 혹은 일반동.. 2023. 7. 25. 자동사와 타동사를 어떻게 구분할까? 일반적인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분 자동사(Intransitive verbs) 자동사는 문장에서 주어만으로 완전한 문장을 이룰 수 있고, 자동사의 동작에 직접적인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은 동사라 할 수 있으며, 자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목적어가 없이 주어와 자동사로 또는 주격보어가 주를 이루어 만들어진 문장이라 할 수 있다. 문장의 형식적인 면에서 구분할 때 우리는 자동사는 1 형식, 2 형식에 쓰인다. 1 형식 문장 The dog barks (강아지가 짖는다.) It rains (비가 온다.) 2 형식 문장 He looked happy (그는 행복해 보였다.) The food tastes delicious (음식이 맛있다.) 이러한 자동사는 문장의 중심이 되는 주어에 초점이 맞춰지는 독립된 의미를 가진 문장.. 2023. 7. 25.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39 다음